money-info의 블로그

money-info-1

  • 2025. 2. 24.

    by. money-info-1

    서론: 바둑 용어를 알면 바둑이 더 재미있다!

    바둑은 단순한 게임이 아니라, 전략과 수읽기가 중요한 두뇌 스포츠다. 하지만 처음 바둑을 접하는 사람들에게는 포석, 패, 사활 등 익숙하지 않은 용어들이 어렵게 느껴질 수 있다.

    이번 글에서는 바둑을 처음 배우는 초보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,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바둑 용어 100개를 정리했다. 바둑을 둘 때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용어부터, 한 단계 더 깊이 있는 전략적인 용어까지 폭넓게 다뤄보자!

    바둑 용어 100선: 초보자도 쉽게 이해하는 바둑 용어 정리
    기초 바둑 용어

     

    1. 바둑판과 바둑돌 관련 용어

    1️⃣ 바둑판 – 바둑을 두는 나무판(19x19, 13x13, 9x9 크기가 있음).
    2️⃣ 선(線) – 바둑판에 그려진 가로와 세로 줄.
    3️⃣ 교차점(交叉點, Intersection) – 바둑돌을 놓을 수 있는 선과 선이 만나는 점.
    4️⃣ 천원(天元) – 바둑판의 정중앙에 있는 점.
    5️⃣ 화점(花點) – 바둑판에 찍혀 있는 9개의 검은 점으로, 주로 포석을 둘 때 기준점이 됨.
    6️⃣ 변(邊, Side) – 바둑판의 가장자리 부분.
    7️⃣ 귀(Corner) – 바둑판의 네 모서리 부분.
    8️⃣ 중앙(中央, Center) – 바둑판 한가운데 넓은 지역.
    9️⃣ 사각(四角) – 바둑판의 네 구석을 의미함.
    🔟 바둑돌 – 흑돌과 백돌. 흑돌이 먼저 둔다.

     

    2. 기본적인 바둑 진행 용어

    1️⃣1️⃣ 착수(着手) – 바둑돌을 바둑판에 놓는 행위.
    1️⃣2️⃣ 착점(着點) – 돌을 놓는 위치.
    1️⃣3️⃣ 패스(Pass) – 둘 차례를 건너뛰는 것.
    1️⃣4️⃣ 승부수(勝負手) – 승패를 결정할 중요한 수.
    1️⃣5️⃣ 형세(形勢) – 현재 바둑판에서 흑과 백의 유리한 정도를 나타냄.
    1️⃣6️⃣ 수순(手順) – 바둑을 둔 순서.
    1️⃣7️⃣ 초읽기(秒讀) – 제한시간이 거의 끝났을 때 일정 시간(초) 안에 착수해야 하는 규칙.
    1️⃣8️⃣ 대국(對局) – 바둑을 두는 행위 또는 경기.
    1️⃣9️⃣ 불계승(不計勝) – 집을 세지 않아도 명확히 이겼을 때 선언하는 승리 방식.
    2️⃣0️⃣ 덤 – 백이 후수(흑이 먼저 두기 때문에 불리함)를 보상받기 위해 받는 점수.

     

    3. 포석과 중반 전투 용어

    2️⃣1️⃣ 포석(布石) – 바둑 초반에 돌을 배치하는 전략.
    2️⃣2️⃣ 정석(定石) – 오랜 연구 끝에 최적의 초반 운영법으로 정해진 수순.
    2️⃣3️⃣ 변칙포석(變則布石) – 정석과 다른 독특한 초반 전략.
    2️⃣4️⃣ 실리(實利) – 바둑에서 실제로 확보한 집.
    2️⃣5️⃣ 세력(勢力) – 넓은 지역에서 영향력을 가지는 돌의 형태.
    2️⃣6️⃣ 두터움(厚味) – 공격당하지 않는 강한 모양.
    2️⃣7️⃣ 발빠른 수(快速手) – 상대보다 빠르게 바둑판을 장악하는 수.
    2️⃣8️⃣ 한칸 협공(一間夾攻) – 상대 돌을 한 칸 간격으로 공격하는 수.
    2️⃣9️⃣ 귀곡사(鬼谷子) – 초반부터 강한 전투를 유도하는 스타일.
    3️⃣0️⃣ 우주류(宇宙流) – 일본 기사 다케미야 마사키가 만든 중앙 세력을 키우는 스타일.

     

    4. 중반 전투 및 공격 용어

    3️⃣1️⃣ 접전(接戰) – 바둑에서 돌들이 가까이 붙어 싸우는 상황.
    3️⃣2️⃣ 전투(戰鬪) – 중반에서 치열한 싸움을 벌이는 것.
    3️⃣3️⃣ 침입(侵入) – 상대 진영에 들어가서 집을 줄이는 공격.
    3️⃣4️⃣ 삭감(削減) – 상대 세력의 확장을 막고 줄이는 전략.
    3️⃣5️⃣ 협공(夾攻) – 상대 돌을 양쪽에서 압박하는 공격.
    3️⃣6️⃣ 후퇴(後退) – 상대의 공격을 피하기 위해 한 칸 물러서는 수.
    3️⃣7️⃣ 급소(急所) – 상대의 돌이 약해지는 중요한 지점.
    3️⃣8️⃣ 끊기(切) – 상대 돌을 분리하여 약하게 만드는 수.
    3️⃣9️⃣ 단수(單手) – 상대 돌이 한 수만 더 두면 잡히는 상태.
    4️⃣0️⃣ 축(逐) – 상대 돌을 한 방향으로 몰아가서 잡는 방식.

     

    5. 끝내기(終盤) 용어

    4️⃣1️⃣ 끝내기(終盤) – 대국의 마지막 단계로, 남은 집을 최대한 확보하는 과정.
    4️⃣2️⃣ 계가(計家) – 바둑의 집을 계산하여 승패를 가리는 과정.
    4️⃣3️⃣ 공배(空白點) – 흑과 백이 둘 필요가 없는 빈 공간.
    4️⃣4️⃣ 패(劫, Ko) – 같은 모양이 반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규칙.
    4️⃣5️⃣ 환격(還劫) – 패가 끝난 후 다시 패싸움을 시작하는 상황.
    4️⃣6️⃣ 빅(Big) – 서로 잡을 수도, 둘 수도 없는 상황.
    4️⃣7️⃣ 양패(兩劫) – 두 개의 패가 동시에 발생하는 상황.
    4️⃣8️⃣ 방패(防劫) – 패싸움을 하기 전에 방어하는 수.
    4️⃣9️⃣ 철벽(鐵壁) – 상대의 공격을 완벽하게 막는 강한 형태.
    5️⃣0️⃣ 자충(自充) – 자신의 돌을 스스로 막아 죽게 만드는 실수.

     

    6. 바둑의 승패와 심리 용어

    5️⃣1️⃣ 승부수(勝負手) – 승패를 결정하는 중요한 수.
    5️⃣2️⃣ 사활(死活) – 돌이 살거나 죽는 문제.
    5️⃣3️⃣ 흑백논리(黑白論理) – 상대의 실수를 유도하는 심리전.
    5️⃣4️⃣ 수읽기(手讀) – 다음 수를 미리 예측하는 능력.
    5️⃣5️⃣ 기풍(棋風) – 바둑 기사의 스타일(공격적, 방어적 등).
    5️⃣6️⃣ 패싸움 – 패를 반복적으로 이용하여 상대를 압박하는 전술.
    5️⃣7️⃣ 기권(棄權) – 대국을 포기하고 패배를 인정하는 것.
    5️⃣8️⃣ 장문(長門) – 상대 돌을 확실하게 가두어 잡는 방법.
    5️⃣9️⃣ 수순착오(手順錯誤) – 착각으로 인해 잘못 둔 수.
    6️⃣0️⃣ 작전 변경(戰略變更) – 전략을 중간에 바꾸는 것.

     

    7. 바둑 전략과 전술 용어

    6️⃣1️⃣ 비마(飛馬, Knight’s Move) – 바둑에서 한 칸 대각선 방향으로 뛴 모양.
    6️⃣2️⃣ 양걸침(兩掛, Double Approach) – 상대 돌에 양쪽에서 걸침을 하는 공격적인 수.
    6️⃣3️⃣ 미생(未生, Weak Group) – 아직 완전히 살아있지 않은 돌의 상태.
    6️⃣4️⃣ 독점(獨占, Monopoly Move) – 한쪽이 완전히 차지한 지역.
    6️⃣5️⃣ 젖힘(扌, Hane) – 상대 돌을 붙이고 꺾는 움직임.
    6️⃣6️⃣ 꺾음(折, Bend) – 돌을 꺾어 연결하거나 상대 돌을 공격하는 수.
    6️⃣7️⃣ 받음(應, Defense Move) – 상대의 공격에 대응하여 수비하는 움직임.
    6️⃣8️⃣ 공격(攻擊, Attack) – 상대 돌을 약하게 만들거나 잡기 위해 시도하는 수.
    6️⃣9️⃣ 감싸기(封鎖, Enclosure) – 상대 돌이 살지 못하게 봉쇄하는 형태.
    7️⃣0️⃣ 타개(打開, Escape) – 상대의 공격을 피해 돌을 살려 나가는 움직임.
    7️⃣1️⃣ 연결(連絡, Connection) – 돌이 서로 연결되어 안전해지는 형태.
    7️⃣2️⃣ 끊음(切斷, Cut) – 상대 돌의 연결을 차단하는 공격적인 움직임.
    7️⃣3️⃣ 찌름(刺, Peep) – 상대의 연결을 위협하여 약점(약점 노출)을 유도하는 수.
    7️⃣4️⃣ 굴복(屈服, Yield) – 상대의 공격에 밀려서 수동적으로 응수하는 상황.
    7️⃣5️⃣ 수상전(手數戰, Capturing Race) – 두 집단이 상대보다 먼저 살아남기 위해 경쟁하는 전투.
    7️⃣6️⃣ 두 점머리(二子頭, Two-Stone Head) – 두 개의 돌이 연속된 상태에서 가장 중요한 모양.
    7️⃣7️⃣ 삼삼침입(三三侵入, 3-3 Invasion) – 귀에서 상대 집을 깨기 위해 3-3점에 두는 수.
    7️⃣8️⃣ 역습(逆襲, Counterattack) – 상대의 공격을 반격하여 주도권을 잡는 수.
    7️⃣9️⃣ 기세(氣勢, Momentum Move) – 상대보다 우위를 차지하기 위해 강하게 두는 스타일.
    8️⃣0️⃣ 작은 눈목자(小目, Small Point) – 포석에서 초반에 자주 사용하는 귀의 착점.

     

    8. 끝내기와 승부 관련 용어

    8️⃣1️⃣ 접바둑(讓碁, Handicap Game) – 실력 차이가 큰 경우, 약한 쪽이 미리 돌을 깔고 시작하는 바둑.
    8️⃣2️⃣ 장생(長生, Eternal Life) – 같은 모양이 무한히 반복되는 경우.
    8️⃣3️⃣ 싸움바둑(戰鬪碁, Fighting Style) – 초반부터 강하게 싸움을 걸며 두는 스타일.
    8️⃣4️⃣ 승부판(勝負盤, Decisive Game) – 승패가 결정되는 중요한 대국.
    8️⃣5️⃣ 외길수(一本道, One-Way Move) – 선택의 여지가 없이 한 가지 수만 존재하는 경우.
    8️⃣6️⃣ 끝내기 정석(終盤定石, Endgame Joseki) – 끝내기 단계에서 자주 사용되는 수순.
    8️⃣7️⃣ 비김(持碁, Draw) – 양쪽 모두 승패를 가를 수 없는 경우.
    8️⃣8️⃣ 사석작전(捨石作戰, Sacrifice Strategy) – 일부 돌을 희생하면서 더 큰 이득을 노리는 전략.
    8️⃣9️⃣ 이중단수(二重單手, Double Atari) – 한 번의 수로 두 개의 돌이 단수에 걸리는 상황.
    9️⃣0️⃣ 불계패(不計敗, Instant Defeat) – 집을 세지 않고 상대가 압도적인 우위를 점했을 때 패배 선언.

     

    9. 바둑의 심리전과 스타일 관련 용어

    9️⃣1️⃣ 시간 공격(時間攻擊, Time Attack) – 상대가 초읽기에 몰렸을 때 빠르게 두어 압박하는 전략.
    9️⃣2️⃣ 함정수(陷阱手, Trap Move) – 상대가 잘못된 수를 두도록 유도하는 전략적 수.
    9️⃣3️⃣ 끊어먹기(切吃, Snapback) – 돌을 일부러 잡히게 유도한 후, 상대를 역습하는 전략.
    9️⃣4️⃣ 기풍(棋風, Playing Style) – 바둑 기사의 전반적인 스타일(공격형, 수비형 등).
    9️⃣5️⃣ 자신감 수(自信手, Confident Move) – 확신을 가지고 두는 수.
    9️⃣6️⃣ 심리전(心理戰, Mind Game) – 상대의 심리를 흔들기 위해 특정한 수를 두는 방식.
    9️⃣7️⃣ 유도수(誘導手, Inducing Move) – 상대가 원하는 방향으로 두도록 유도하는 전략.
    9️⃣8️⃣ 버티기(耐手, Holding Move) – 불리한 상황에서 끝까지 버티며 역전을 노리는 방식.
    9️⃣9️⃣ 과감한 수(豪快手, Bold Move) – 위험 부담이 크지만, 판도를 바꿀 수 있는 공격적인 수.
    1️⃣0️⃣0️⃣ 대마불사(大馬不死, Big Group Won’t Die) – 아주 큰 돌은 상대도 잡기 어려워 쉽게 죽지 않는다는 의미.

     

    결론: 바둑 용어를 알면 실력이 향상된다!

     바둑 용어를 이해하면 해설을 쉽게 따라갈 수 있고, 바둑 실력이 빠르게 향상된다.
     포석, 정석, 단수, 축 등의 기본 개념부터 시작해 실전 용어까지 익히는 것이 중요하다.
     바둑은 단순한 규칙을 넘어, 심리전과 전략이 중요한 게임이다. 용어를 익히면서 바둑을 더 깊이 있게 즐겨보자!